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조선업계 국내 조선소 포화로 해외 조선소 진출 전략

by 뜨얼 2025. 4. 15.
반응형

⚓ 국내 조선소 포화, K조선은 해외로 방향 틀다

2025년 현재, 국내 조선업계는 슈퍼사이클이라 불릴 정도로 수주가 밀려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조선소의 건조 능력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고, 이에 따라 주요 조선사들은 해외 조선소를 활용한 생산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생산 확장이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중국 리스크 회피 전략이 결합된 움직임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HD현대, 베트남·필리핀에 건조 기지 집중

반응형

HD현대는 최근 동남아를 중심으로 독(船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필리핀 수비크조선소
    • 11만5000DWT급 운반선 8척 건조 예정 (홍콩·일본 선사 발주)
    • 기존 MRO 용도의 독을 선박 건조용으로 전환
    • 추가 수주 상황에 따라 남은 독도 임차 계획
  • 베트남 칸호아성 HVS
    • 연간 15척 → 2030년까지 23척 생산 능력 확장
    • 유럽·아프리카 선주로부터 수주 증가
    • 1000억 원 규모 투자 진행 중

이처럼 HD현대는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 생산기지를 구축하며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한화오션, 인수 전략으로 해외 거점 확보

한화오션은 조선소 인수와 경영권 확보를 통한 확장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 싱가포르 다이나맥홀딩스 인수
    • 해양플랜트 상부 구조물 29기 생산
    • 거제 조선소와의 분업 생산 체계 도입
    • 생산 효율성과 수주 처리 능력 향상
  • 미국 필리조선소 운영
    • 2024년 노르웨이 아커로부터 인수
    • 현재 7척의 선박 수주
    • 미국 내 생산이라는 지리적 강점으로 수주 확대 기대

한화는 플랜트-선박 분업 생산, 미국 내 조선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조선 네트워크 확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삼성중공업, 협력 중심의 유연한 해외 전략

삼성중공업은 독립적인 해외 진출보다는 현지 조선사와의 협력 방식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 동남아 조선사와의 파트너십 추진 중
  • 유럽 선사에 한해서 중국 생산기지 활용

최근 사례로는:

  • 그리스 센트로핀 발주 원유 운반선 4척 → 중국 팍스오션에 하도급
  • 수에즈막스급 탱커 4척 → 저장성 저우산 조선소 하청

이는 비용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고품질 선박 납기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왜 조선사들은 해외로 눈을 돌릴까?

조선업계의 해외 확장은 단순한 생산능력 확충 그 이상을 의미합니다.

  1. 국내 조선소 건조능력 포화
    • 이미 2028년까지 선박 인도 스케줄이 빽빽
  2. 글로벌 리스크 대응
    • 미국의 중국산 선박 제재 강화에 따른 반사이익
    • CSSC(중국선박공업집단) 블랙리스트 지정
    • 글로벌 선사들이 중국 대신 한국 조선사와 거래 추진
  3. 글로벌 수요 맞춤형 생산
    • 지역별 선주 요구에 따른 생산 분산 필요
    • 유럽, 아프리카, 미주 지역 수요 증가에 탄력적으로 대응
     


📌 마무리 정리

  • 국내 조선소는 포화 상태, 수주는 계속 증가
  • HD현대는 필리핀·베트남 중심 해외 독 확장
  • 한화오션은 싱가포르·미국 조선소 인수로 생산력 강화
  • 삼성중공업은 현지 파트너십 전략으로 유연하게 대응
  • 글로벌 조선업 변화 속에서 K조선의 경쟁력 확대가 지속 중
 

RWA 제도 개선 금융위 TF 가동 소식 인수금융 기대감

🏦 금융위, RWA 제도 개선 추진…IB 업계 기대감↑2025년 들어 금융당국이 위험가중자산(RWA) 제도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어요.인수금융과 사모펀드(PEF) 출자 제약이 완화될 수 있는 계기

glue.fingerplay.co.kr

 

캐치! 티니핑 스핀오프 필름 공개 일정과 현대차 콜라보 콘텐츠 소개

🚗 현대차, 티니핑과 손잡고 유스 마케팅 강화현대자동차가 인기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을 제작한 SAMG엔터테인먼트와 협업해,어린이와 청소년 대상 ‘유스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전개

glue.fingerplay.co.kr

 

 

던파 매출 1조 돌파한 비결과 중국 시장 성공 전략

던전앤파이터, 다시 매출 1조 돌파한 비결은?넥슨의 대표 게임 ‘던전앤파이터’(이하 던파)가 5년 만에 다시 연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성

glue.fingerplay.co.kr

 

반응형